Life in a Laboratory2013. 12. 19. 09:35

방송

       

 

 

 

 

 

1

숨진 남성 암 환자 3분의 1, 흡연 탓(임명철)

YTN

2013-12-18

http://search.ytn.co.kr/ytn/view.php?s_mcd=0103&key=201312181833197112&q=%B1%B9%B8%B3%BE%CF%BC%BE%C5%CD

2

“담배만 끊어도 남성 암 사망 33% 감소”(국립암센터)

KBS

2013-12-18

http://news.kbs.co.kr/news/NewsView.do?SEARCH_NEWS_CODE=2774262&ref=D

 

Posted by HanJoohyun
Life in a Laboratory2013. 12. 17. 09:52

저의 사용자 페이지 입니다
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사용자:Kenneth.jh.han

생물학에 대하여 같이 고민해보고 발전을 이룰 수 있기를 바라며

Posted by HanJoohyun
Life in a Laboratory2013. 11. 22. 16:52

여기서 할 수 있는 일들을 생각해보자!

사고를 뛰어넘는 발상으로 무언가를 해낸다면

여기에 서있었음이 더욱 빛이 난다!!

Posted by HanJoohyun
Life in a Laboratory2013. 11. 22. 10:22

많은 일들이 있었다 2009년 처음 랩을 시작하며, 그 중간에 있었던 일들.

여러 사람들을 만났고 가졌던 기회들, 놓쳤던 기회들.

생각하면 모든 것이 다 아쉽지만,

지금 놓치지 않은 것들을 잘 주어 모으는 심정을 갖자.


건강한 신체가 있었기에,

바닥이라고 불릴만한 곳에서 출발하였고, 나름의 체계적인 시스템을 배웠다.

지금 이 곳,

바닥에서 배운 체계적인 시스템을 적용할 곳이다.

Posted by HanJoohyun
Life in a Laboratory2009. 8. 26. 14:52
Chemical ingredients
-> Tris : used as a buffer, innocuous substance to most protein
-> Glycine : used as the source of trailing ion or slow ion
-> Acrylamide
-> Bisacrylamide : frequently used cross linking agent
-> Sodium Dodecyl Sulfate (SDS) : dissociation agent, denature native protein => cause native protein to unfold
-> Ammonium persulfate (APS) : initiator for gel formation
-> TEMED

Method
각각 조성에 맞게 Running gel 과 Stacking gel을 만든다
이때 TEMED는 나중에 넣는다 (TEMED를 넣는 순간부터 gel 화 되기 때문이다)
70% alcohol로 short plate 와 plate 를 먼지가 없도록 잘 닦는다
gasket (고무같은) 을 frame 밑에 넣고 닦은 유리를 frame에 넣는다
Stacking gel 과 Running gel 을 short plate 와 plate 사이에 넣어야 하는데
Running gel 이 밑에 있으므로 먼저 넣는다
이때 기포가 발생 할 수도 있는데, 에탄올을 넣으면 해결된다. 또한 에탄올을 넣게 되면 공기도 차단된다.
15분 후, 프레임을 잡고 뒤집어 에탄올을 뺀다. 아까 넣은 gel은 굳어서 빠지지 않는다.
남은 에탄올은 filter paper 로 흡수시킨다.
TEMED 를 넣은 Stacking gel을 틀에 넣고 comb를 끼운다.
15분 후, 흐르는 물에서 comb을 뺀다.
틀에서 유리를 분리 시키고 랩에 싸서 4'C에 보관한다ㅇㅇㅇㅇㅇ
-끗-

Refrences
File:TEM image of a polyacrylamide gel.jpg
http://en.wikipedia.org/wiki/File:TEM_image_of_a_polyacrylamide_gel.jpg

http://en.wikipedia.org/wiki/SDS_PAGE
Posted by HanJoohyun
Life in a Laboratory2009. 8. 26. 13:30
EtBr 은 독성 물질이므로
Latex 장갑위에 위생장갑을 착용

마커 / 컨트롤 / 내가 할 것 <- 이 순서대로 넣음

여기서 Loading dye 를 넣어줌
Loading dye 의 역할은 DNA를 well 에 가라앉게 해주는 것과 파란색으로 전기영동시 관찰하게 해줌
Loading dye 가 6x이므로 15λ 에서 3λ를 넣어줌

파라필름 위에서 파이펫으로 공기방울이 생기지 않게 잘 섞음
well 에 넣은 뒤
100V, 60mins 으로 맞춤
"RUN" button 누름
Posted by HanJoohyun
Life in a Laboratory2009. 8. 26. 12:58

test tube (두번의 잠금장치, 첫 번째는 공기 통함 두 번째는 완전 밀봉) 에 ampicillin 액체 배지 3-4 mL 넣음

colony picking 하는 세가지 방법

1. yellow tip 이용

2. 이쑤시개 이용
-> Autoclave 되어있다
3. Loop 이용

나중에 Shaking incubator 에 넣는다

넣을때는 잘 섞이도록 다음 그림처럼 약간 기울여서 넣는다

Posted by HanJoohyun
Life in a Laboratory2009. 8. 26. 11:35

* Principle

바이러스 -> 세균보호
세균은 methylation 되있고 virus 는 안 되있음
세균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부터 가공

unit 이라는 단위
1unit -> 1㎍ DNA를 자를 수 있음

* Method
DW
DNA
buffer
restriction enzyme

total volume 을 정한다
여기서 enzyme 이 너무 많으면, 자르지 않을 부분도 잘라버리는, staractivity (스타액티비티) 현상이 일어남
total volume 을 정하면 그에 따라 buffer 를 정함

ex) total volume 20 λ 에 DNA 10λ buffer 10x , enzyme 1λ 라 하면
buffer 2λ
DNA 10λ
enzyme 1λ
나머지 DW로 20λ 맞춰줌

buffer 는 냉동실안에 있는데 -> vortexing

DW -> DNA -> buffer -> enzyme 순으로 넣어서 섞이게 톡톡 친다
그다음 centrifuge ㅇㅇ.

37'C 에서 보관한다
(Waterbath 나 incubator 에 보관)
Posted by HanJoohyun
Life in a Laboratory2009. 8. 26. 11:21

transformation, 벡터 뽑기

pipetting 해서 펠렛을 푼다



Spreading 한다

제대로 된 실험 결과라면 Control에는 자라나지 못한다.
Posted by HanJoohyun
Life in a Laboratory2009. 8. 26. 11:10
한달에 한번씩 배지 갈아줘야함..

37'C Incubator
UV off Light on Fan on
항생제 없는 LB 배지
한 개의 Colony 만 Loop로 따서
Streaking


Reference
사진 : http://chsweb.lr.k12.nj.us/psidelsky/Picture20009-75.jpg
Posted by HanJoohyun